kotlin 독학 6일차 :: 함수
코틀린 독학 6일차 함수 !
설 연휴지만...공부한드아..
누가 그랬다 공부는 맨날 조굼씩 하는거라고...^^
-
함수 ! 란 뭐고
왜 사용하는 걸까 ?! (그니까 진짜 어려운데 왜 사용해 사람 힘들게)
함수는 여러 값(인자)를 입력받아 기능을 수행하고
결괏값을 반환 ! 하는 코드의 모음이다.
쉽게 말해서 여러 재료를 넣고 원하는 하나의 모양을 만들어내는 것이다.
-
그럼 함수는 왜 사용할까?
바로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!!!
하나의 결과물을 만든 후에
또 그 결과를 만들기 위해 코드를 입력하거나 새로 함수를 만들 필요가 없이
그 함수를 재사용해서 결과를 만들어내면 된다 !
함수의 구조
덧셈함수
함수의 구성요소를 하나씩 알아보자!
① fun 키워드로 함수 선언
모든 언어의 함수는 function을 줄인말로
fun 키워드로 시작.
② 함수 이름 짓기
모든 함수에는 이름이 있다 !
이름은 본인이 정하면 되지만 너무 길어지면 카멜 표기법을 사용하자 !
지금은 덧셈 함수니까 sum 으로 이름을 지었다
③ 매개변수 정의
함수 이름 오른쪽 () 안에 매개변수를 정의함
여기서 매개변수는 함수에서 입력한 값을 받는 변수다.
매개변수는 쉼표를 통해 여러개를 지정할 수 있고 : 를 사용하여 자료형을 명시해 줘야 한다.
④ 반환값의 자료형 명시
함수가 반환하는 값이 있다면 반환값의 자료도 반드시 명시 !
여기서는 덧셈 함수가 반환할 값은 Int형이기 때문에 () : 옆에 Int형으로 명시했다
⑤ 함수 본문 완성
함수의 기능을 담당하는 함수의 본문 코드는 중괄호 { 로 감싸서 작성해야함.
매개변수 a 와 b 를 더해 sum 값에 저장
⑥값 반환
return 키워드로 반환할 값을 명시해야 함
위에 덧셈 함수에서는
변수 sum 에 a 와 b 를 더한값을 저장하고
return sum으로 값을 반환 했음.
fun 함수이름 (매개변수 이름 : 자료형, ...) : 반환값의 자료형 {
표현식
return 반환값
}
으로 구성되어있다!
함수 호출하기
그럼 직접 코드를 통해 함수를 호출해보자!
위에서 작성한 함수 코드를
main() 함수안에서 호출해보자
result1 과 result2 에 각각 값을 전달하여
실행시켜보면
전달받은 인자를 각각 더한 값인 5 , 6 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!
함수의 매개변수에 기본값 지정하기
편한 이해를 위해 코드를 통해 확인하자
add() 함수는 매개변수 email 에 기본값으로 default를 지정하고
defaultArgs는 인자 없이 호출하거나
인자를 하나만 호출하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
실행 결과를 확인해보면 주석처리 해 놓은 값이 출력된다.
가변인자 활용하여 함수만들기
다양한 인자의 개수를 전달받기 위해 가변인자를 사용하여 함수를 만들어보자
매개변수 counts 는 왼쪽에 varargs라는 키워드를 붙여서
counts를 가변인자로 지정했다.
또한 normalVarargs() 함수 본문에서 배열의 모든 내용을
순차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in 키워드와 반복문을 통해
함수를 호출했다 !
결과값을 확인해보면
이런 결과값이 나타난다!
-